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염좌(sprain)과 좌상(strain) 병태 생리, 치료

by 솜병아리 2023. 8. 21.

염좌(sprain)

주로 관절 주변의 인대, 힘줄, 근육 등의 연조직에 손상이 발생합니다. 뒤틀린 동작으로 인해 인대가 과도하게 늘어나는 것을 말합니다. 주로 외부적인 힘으로 발생합니다. 일상생활 활동이나 스포츠에서 발생합니다. 손상 시 흔히 "퍽" 소리를 듣는다고 합니다. 마치 무릎이 주저앉는 것 같은 느낌이라고 표현합니다. 염좌의 정도를 분류하면 경증, 중정도, 중증의 손상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경증의 경우, 인대가 늘어나거나 약간의 손상을 말합니다.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부종과 염증 또한 가볍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관절의 움직임이 일부 제한되거나 관절의 기능 부전은 없을 수 있습니다. 중정도인 경우 인대가 부분적으로 찢어지거나 늘어날 때 발생합니다. 통증은 경증보다 상대적으로 심해집니다. 부종과 염증이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관절 주변의 움직임도 뚜렷하게 제한됩니다. 하지만 관절의 안정성은 완전합니다. 중증의 경우 인대가 완전히 찢어지거나 매우 심하게 늘어날 때를 말합니다. 통증이 매우 심합니다. 부종과 염증이 심각하게 나타납니다. 해당 관절 움직임이 거의 불가능하며, 보행이나 활동이 크게 제한됩니다. 가장 흔히 발생하는 부위는 무릎의 중앙 측부 인대입니다.

 

좌상(strain)

근육이나 힘줄이 과도한 힘으로 손상되는 상태입니다. 주로 근육이 급격하게 수축하거나 늘어나는 동작이나 힘으로 발생합니다. 다시 말해, 근육을 지나치게 신전시킬 때 근육이나 힘줄이 손상되는 것을 말합니다. 일상생활에서 갑작스러운 움직임, 스포츠 활동, 부상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무리하게 물건 들어 올리기, 낙상 등도 원인이 됩니다. 좌상은 재발률이 높습니다. 좌상은 경증, 중정도, 중증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경증의 경우 근육 섬유가 미세하게 늘어나거나 손상될 때 발생합니다. 주로 통증은 경미합니다. 근육 부분의 부종과 경련이 나타날 수 있으나, 근육 수축력은 거의 변하지 않습니다. 출혈이 거의 없는 염증을 유발합니다. 붓기, 반상출혈과 압통이 흔히 나타납니다. 중정도의 경우 근육 섬유가 부분적으로 찢어지거나 늘어날 때 발생합니다. 통증은 상대적으로 심합니다. 근육 부분의 부종과 경련이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근육 기능 부전이 있으며 관절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중증의 경우 근육 섬유가 완전히 찢어지거나 심하게 늘어날 때 발생합니다. 통증은 매우 심합니다. 부종과 경련이 심각하게 나타납니다. 활동이 거의 불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염좌(sprain)와 좌상(strain)의 치료

염좌와 좌상의 경우 보호, 휴식, 냉요법, 압박, 거상이 기본적인 치료 방법입니다. 무리한 활동을 피합니다. 해당 관절을 덜 움직이도록 하며 부상 부위를 휴식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염좌의 경우 보통 1주일 동안 움직이면 안 됩니다. 움직일 때 통증이 사라지면 근력강화운동을 시작합니다. 부상 부위에 얼음을 올려 부종과 염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얼음은 수건 등으로 감싸 사용해야 합니다. 부상된 근육에 약한 압박을 가해, 부종을 줄이고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부상된 관절이나 근육을 쿠션 등을 사용하여 높게 들어줍니다. 이로써 부종을 줄이고 피로를 덜어줍니다. 통증 완화를 위한 통증 완화제를 복용할 수 있습니다. 경증 치료는 안정과 첫 24~48시간 동안 얼음을 사용합니다. 또 관절 지지를 위해 압박붕대를 적용하여 거상 합니다. 중정도 치료는 열상이 치유되는 동안 부분 체중부하와 부목 등을 이용한 부동이 필요합니다. 중증 치료는 만성적으로 불안정할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